생계급여, 기초연금 등 복지자금 신청시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 소득인정액의 뜻과 계산방법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소득인정액이란?
소득인정액이란 소득에 일정 기준으로 환산한 재산을 더한 금액을 말합니다. 소득인정액은 생계급여, 주거급여, 기초연금 등 복지자금 신청시 반드시 계산되어야 합니다.
🖊️🖊️ 소득인정액 = 실제소득 + 재산의 소득 환산액 🖊️🖊️
실제소득이란 실제로 매월 수령하는 월급이나, 매출 등의 금액입니다. 따라서, 실제소득은 별로 계산을 할 필요없이 수령한 금액 그대로 적용됩니다. 반면, 재산의 소득 환산액은 개인이 소유한 부동산, 차량, 예금 및 저축, 주식 등의 재산을 월 소득으로 환산한 금액입니다. 그래서 일정의 계산 조건이 필요합니다.
재산의 소득 환산액 계산방법
재산을 소득으로 환산할 때는 재산의 일정 비율을 적용하여 월 소득으로 변환됩니다. 2025년 기준으로 재산의 소득 환산율을 아랴 표와 같습니다.
단순히, 표만 봐서는 어떻게 계산되는지 이해하기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1억 원의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는 경우재산유형이 일반재산으로 분류되어 환산율 4.17%가 적용됩니다. 1억 원의 4.17%인 41.7만 원이 월 소득으로 계산됩니다.
만약, 적금으로 1천만 원이 있는 경우 환산율 6.26%가 적용되고, 1천만 원의 6.26%인 6.26만 원이 월 소득으로 인정됩니다.
내가 소유한 자산을 일일히 모두 계산하려면 많이 번거로울 수 있습니다. 그래서 복지로 홈페이지(www.bokjiro.go.kr)에서는 간편하게 계산할 수 있도록 소득인정액 계산기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복지로 소득인정액 계산기 이용하기
복지로에서 지원되는 소득인정액 계산기는 사용법이 매우 간단합니다. 기본적인 양식이 홈페이지에 적용되어 있기 떄문에 빈칸만 채우고, 마지막에 "결과보기" 버튼만 클릭하면 소득인정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